<p></p><br /><br /><p>[앵커멘트]</p><p> </p><p>공정한 사회 실현을 위해 경기도는 기본소득과 지역화폐를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는데요.</p><p>이들 정책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위해 다음달 기본소득 박람회가 열린다고 합니다.</p><p> </p><p>신선미 기자가 소개합니다.</p><p> </p><p>[기사내용]</p><p>경기도는 지난해부터 특별한 실험에 착수했습니다.</p><p> </p><p>만 24세 도민들에게 연간 100만 원을 지급하는 청년기본소득 제도를 도입한 겁니다.</p><p>혜택을 받는 청년층은 17만 명이 넘습니다.</p><p> </p><p>[이소율 / 청년기본소득 수혜자 (만 24세)]</p><p> </p><p>"금수저니 흙수저니 하면서 처음 스타트 지점의 차이점에 대해서 이슈들이 많은 것 같은데…만 24세 경기도 주민이라는 사유 하나만으로 공평하게 배분을 받았고."</p><p> </p><p>도내에서 통용되는 지역화폐로 지급하다 보니 지역경제가 살아나는 효과도 누리고 있습니다.</p><p> </p><p>[이소율 / 청년기본소득 수혜자 (만 24세)]</p><p> </p><p>"동네 안 가던 단골가게도 생긴 것 같고, 미래 자기개발을 위해서 쓸 수 있는 금액이 되기도 하겠죠."</p><p> </p><p>사회 모든 구성원들에게 아무 조건 없이 일정금액을 지급하는 기본소득.</p><p>경기도는 공정한 세상을 실현한다는 목표 아래 기본소득과 지역화폐를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.</p><p> </p><p>다음달 6일부터 열리는 기본소득박람회는 이들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만들어 가는 전 국민 축제의 장으로 펼쳐집니다.</p><p> </p><p>개막식에는 '2020 기본소득 경기선언'이 발표되며,</p><p>기본소득 정책을 시행하거나 준비 중인 국내외 지자체장은 물론 해외 저명 연구자들이 참여해 외연 확장에 나서게 됩니다.</p><p> </p><p>[조계원 / 경기도 정책수석]</p><p> </p><p>"불공정과 불평등의 원인을 진단하고 기본소득이 적절한 해법이 될 수 있는지와 기본소득이 어떤 정책과 결합될 때 더욱 향상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지 탐색할 것입니다."</p><p> </p><p>라이브 토크쇼와 대학생 원탁토론회, 캐릭터 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도 관람객들을 맞이할 예정입니다.</p><p> </p><p>채널A 신선미입니다.</p><p> </p><p>영상취재 : 박재덕</p><p>영상편집 : 유하영</p><p> </p>